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으로 2025 조기 대선이 확정되었습니다. 본투표일은 6월 3일, 사전투표일은 5월 29~30일로 유력한 가운데, 후보 등록일과 지자체장 사직 마감일 등 꼭 알아야 할 일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유권자라면 절대 놓치지 마세요!
1.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인용…2025 조기 대선 확정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소추를 인용하면서 대통령직이 궐위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은 헌법 제68조와 공직선거법 제35조에 따라 60일 이내에 조기 대선을 실시해야 합니다.
대통령 궐위에 따른 대선은 일반적인 임기 만료 선거와 달리 준비 기간이 짧고 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됩니다.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덕수 국무총리는 4월 14일까지 조기 대선 일정을 공식 공고할 예정입니다.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헌재 결정 후 5일 만에 대선일이 공고되었으며, 이번에도 유사한 일정을 따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후보자 등록일과 공식 선거운동 기간은?
조기 대선의 경우 후보자 등록일은 선거일 기준 약 한 달 전으로 설정됩니다. 현재 예상되는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후보자 등록일: 2025년 5월 10일(토)~11일(일)
- 공식 선거운동 기간: 2025년 5월 12일(월)~6월 2일(월)
- 본투표일: 2025년 6월 3일(화) 오전 6시~오후 8시
후보 등록이 마감된 직후 본격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되며, TV토론회, 거리유세, 공약 발표 등이 이어질 예정입니다. 각 정당도 4월 중순부터 경선 및 후보 선출 작업에 돌입하게 됩니다.
3. 사전투표일은 언제? 유권자 필수 정보 정리
직장인, 학생, 여행 계획이 있는 유권자라면 반드시 체크해야 할 정보가 바로 사전투표일입니다. 2025 조기 대선의 사전투표일은 다음과 같이 예상됩니다.
- 사전투표일: 2025년 5월 29일(목) ~ 30일(금)
- 투표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투표 장소: 전국 읍·면·동 사전투표소 (별도 신고 없이 가능)
사전투표는 정해진 지역구가 아닌 전국 어디서나 가능한 것이 큰 장점입니다. 신분증만 지참하면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재외국민을 위한 재외투표일도 마련되어 있으며, 재외공관에서 5월 20일~25일 사이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재외투표 유권자라면 해당 공관의 공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4. 지자체장 출마자는 사직 기한 유의해야
이번 조기 대선에서는 일부 광역 및 기초단체장이 출마를 고려하고 있어 법적 사직 기한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현행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 지자체장 사직 마감일: 2025년 5월 4일(일)
선거일 30일 전까지 직을 사임하지 않으면 출마 자격이 박탈되므로, 해당되는 단체장은 5월 4일까지 사직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광역시장, 도지사, 구청장 등의 사퇴 여부에 따라 각 지역 정치 지형도 요동칠 수 있습니다.
정당별 경선 일정 역시 조기 대선 일정에 맞춰 빠르게 진행되며, 4월 말~5월 초에 걸쳐 주요 대선 후보들이 확정될 것으로 보입니다.